본문 바로가기

isa2

3가지 연금저축, IRP, ISA의 장단점 비교하기 노후 준비는 안녕하신지요? 이렇게 시작하면 행복한 고민한다고 할것입니다. 먹고살기 바쁘데 무슨 노후준비하느냐 하면서 말입니다. 또한 무엇을 해야하는지 몰라서 못하는 사람도 있을것 같습니다. 오늘은 노후 준비를 위한 우리나라 3가지 연금체계인 연금저축, IRP, ISA가 무엇이며 장단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1. 연금저축 계좌와 IRP 계좌 장단점 연금저축 계좌와 IRP 계좌는 퇴직 이후 안정적인 삶을 위한 계좌로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의무적으로 55세까지 보유를 해야 합니다. 연금저축 계좌와 IRP 계좌는 비슷하지만 IRP가 조금 더 강제성이 있습니다. 연금저축은 본인이 자산을 스스로 투자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IRP는 30%는 예금, 국채 등 안전자산 투자해야 합니다. 연금저축 계좌는 600만원까.. 2024. 3. 8.
연금저축, IRP, ISA 삼총사 비교하기 세액 공제와 관련하여 연금저축펀드, IRP(개인형 퇴직연금), ISA(개인 종합 자산관리계좌)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들 계좌의 차이점과 특징을 잘 비교하여 선택하여 절세효과를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연금저축 이란? 연금저축은 개인이 노후생활을 안정적으로 준비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가입하는 제도이다. 연금저축 종류에는 다음과 같이 3가지가 있습니다. 연금저축신탁 - 신탁업자(은행)와 체결하는 신탁계약(2017년까지 운영되었으나 수익률이 높지 않아 현재는 가입이 힘든 상품) 연금저축펀드 - 투자중개업자(자산운용사)와 체결하는 집합 투자 증권 중개계약 연금저축보험 - 보험계약을 취급하는 기관(생명보험/손해보험)과 체결하는 보험계약 2. 퇴직연금 제도란? 근로자가 재직하는 동안 사용자(기업)는 퇴직금을 사.. 2024.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