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환율(Exchange rate) 이해하기

by 온라인 건물주인 2024. 5. 8.

 재테크를 한다면 기초인 환율을 이해해야 합니다. 오늘은 환율이란 뜻과 환율을 최대한 쉽게 이해하기를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나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환율 변동을 이해한다면 무엇이 좋은 것인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환율이해하기

1. 환율이란?

먼저 사전적 의미의 환율(換率, exchange rate)은 한 통화와 다른 통화의 교환 비율로, 대개 기준 국가의 관점에서 자국 통화와 타국 통화의 교환 비율인 외환율(外換率, foreign exchange rate)을 가리킨다. '환시세', '외환시세', '외국환시세'라고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달러의 가격이 1000원에서 1100원이 되면 환율이 올랐다고 표현한다. 반대로 1달러의 가격이 1000원에서 900원이 되면 환율이 내렸다고 표현한다. 쉽게 말해 '교환'의 비율, 현재 기준 원화로 살 수 있는 달러의 값이 환율입니다.

그러면 환율이 오르고 내리면 무엇이 달라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Exchange rate

2. 환율이 상승할 때 나타나는 경제 현상

1) 가계

- 수입 생필품, 식료품, 에너지의 가격이 오른다

- 가처분 소득 감소

- 소비가 둔화

2) 기업

- 원자재 중간 수입 부품재의 가격 상승. 수출품 가격 경쟁력 향상

- 수출 증가 - 상품 수지 흑자 - 환율 하락 압력 수출 기업 이익 증가

- 재투자 및 기술 경쟁력 향상. 가계 임금 증가로 소비 둔화 효과 일부 상쇄

- 외국인 투자자금 주식시장 유입

- 환율 하락 압력

3) 국가

- 환율 쏠림과 투기 세력 억제를 위한 매도 개입 - 환율 하락 입력

3. 환율이 하락할 때 나타나는 경제 현상

1) 가계

- 수입 생필품. 식료품. 에너지의 가격 하락 - 가처분소득 증가

- 소비가 증가

2) 기업

- 원자재 중간 수입 부품재의 가격 하락. 수출품 가격 경쟁력 악화

- 수출 감소

- 상품 수지 적자

- 기업 이익 감소

- 재투자 및 기술 경쟁력 둔화. 가계 임금 감소로 소비 증가 효과 일부 상쇄

-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 환율상승 압력

3) 국가

- 환율 쏠림과 투기 세력 억제를 위한 매수 개입

- 환율상승 압력

마무리

이처럼 환율상승은 영원히 지속될 수 없으며 외화 유입으로 환율은 낮아진다. 의도적으로 조정하지 않아도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환율은 평균으로 회귀하게 되는 것이다. 단순하지만 이러한 특징을 투자가 관점에서는 매우 좋은 기회이지 않을 수 없다. 만약 환율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등락한다면 범위 하단에서 사고 상단에서 팔아 수익을 챙길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